전도서 Ecclesiastes 전도서는 히브리어로 ‘모인 무리들에게 말하는 사람’ 즉 설교자 또는 전도자로써 어떤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저자 : 전도서라고 하면 곧 ‘허무주의’를 연상할 만큼 ‘헛되고 헛되다’는 말로 가득 차 있는 책이다. 따라서 저자는 이러한 허무주의로서 인생을 보아.. Spirit&Basecamp/Bible 2011.01.14
아가 Song of Songs 사랑이 주제가 되어 있는 시가이며 아가서의 히브리어 제목은 ‘솔로몬에게 속하는 노래 중의 노래’이다. 솔로몬을 저자라고 해 왔지만 오늘에 와서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별로 없다. ‘솔로몬의 아가라(1:1)’고 했는데 이것은 솔로몬이 지었다고 하기 보다는 ‘솔로몬에 대하여’라.. Spirit&Basecamp/Bible 2011.01.10
이사야 Isaiah 앗수르의 침략으로 남유다와 북이스라엘 모두 곤욕을 당하던 때를 배경으로 한다. 이사야서는 흔히 두 부분(제1 이사야 1:~39:, 제2 이사야 40:~66:) 혹은 세부분으로 나뉘어 다른 저자에 의해 기록된 책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전통적으로 전체의 저자는 이사야라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Spirit&Basecamp/Bible 2011.01.09
예레미야 Jeremiah 예레미야가 예언 활동을 시작한 때는 애굽, 앗수르, 바벨론 등의 초 강대국들의 위협으로 서아시아의 작은 나라들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은 처지였다. 야훼의 존엄성과 초월성을 믿었고 그의 능력과 선하심을 믿은 에레미아는하나님을 향한 인격적인 신뢰를 노래했다. 저자 : 예.. Spirit&Basecamp/Bible 2011.01.09
예레미야 애가 Lamentation 예루살렘 멸망 (BC 586) 뒤 그 폐허를 목격하고 노래한 슬픔의 노래 개요 1. 예루살렘의 비참함 2. 여호와의 분노로 인한 비참함(17) 3. 시인의 처참함을 하나님께 호소(8절 같은 때도 있음) 4. 패망한 예루살렘을 보고 슬퍼함 5. 슬픔의 기도(21~22의 기도문에 절감) 성구 - 3;55 from the depth.. Spirit&Basecamp/Bible 2011.01.07
에스겔 Ezekiel 주전 597년에 바벨론왕 느브갓네살이 예루살렘을 포위하였고 유다왕 여호야긴은 항복하고 포로가 되어 바벨론으로 붙잡혀 갔다. 그 후 그의 숙부가 왕위에 올랐으나 유대인들은 여호와긴이 돌아와 왕위에 오를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에스겔은 미래에 대하여 비관적인 견해.. Spirit&Basecamp/Bible 2011.01.07
다니엘 Daniel 묵시문학에 속함 저자 : 다니엘 ( 다니엘이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하나님은 심판하신다’라는 뜻이다. 이 책은 주전 6세기 경 바벨론으로 포로가 되어 간 다니엘이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1부(1장 ~6장) : 다니엘이 바벨론으로 잡혀가 사자 굴에 던져지기까지(왕의 진미, 느.. Spirit&Basecamp/Bible 2011.01.03
호세아 Hosea 구약성서의 소예언서 중의 하나로 결혼의 상징을 통해서 여호와와 이스라엘의 관계를 해석한다.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은 고멜에 대한 호세아의 사랑으로 비유하며 회개를 촉구한다. 이 글은 크게 두 부분 즉 호세아의 가정생활과 이스라엘의 타락으로 나뉜다. 저자 : 호세아 ( 호세.. Spirit&Basecamp/Bible 2011.01.03
요엘 Joel 메뚜기의 재앙에 대한 예언을 통해서 자연적인 재난과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적, 도덕적 생활 사이에 어떤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스라엘 민족이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서기만 하면 하나님께서는 가뭄과 메뚜기 떼로 잃어버린 것보다 더 많이 돌려주실 것이라 예언하였다. .. Spirit&Basecamp/Bible 2010.12.30
아모스 Amos 본서는 북왕국 이스라엘인들의 자만, 우상숭배, 빈곤층에 대한 억압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한다. 이 당시 이스라엘은 평화와 번영을 누리며 가진 자들이 자만하여 가난한 자들을 학대하고 노예매매까지 한 시대이다. 또한 종교적으로도 부패하여 내용이 없는 형식적인 종교의례가 치러졌으.. Spirit&Basecamp/Bible 201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