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마음에서 피는 꽃] 한 줄기 난 꽃대로부터 오는 행복 한 줄기 난 꽃대로부터 오는 행복 해마다 나에게 꽃을 피워 주는 고마운 난 화분이 있다. 그 화분에서 몇 줄기의 난 잎 사이로 꽃대 하나가 살며시 올라오기 시작하면 나는 그것을 발견하는 순간부터 기대감에 부풀기 시작한다. 미세한 바람에도 떨리는 듯 보이는 난 잎 사이로 꽃대 한대.. e-Book&CHARMBooks/e<마음에서피는꽃> 2006.03.12
e[마음에서 피는 꽃] 두 겹 꽃잎을 가진 연산홍의 유혹 두 겹 꽃잎을 가진 연산홍의 유혹 어느 해의 이른 봄 3월에 연산홍 꽃망울이 가득 달린 분 하나를 받았다. 생일선물로 받은 이 예쁜 화분을 사람들의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올려놓았다. 물론 약국 안에서 일하고 있는 나의 눈에도 잘 보이는 곳이었다. 약을 사러 온 사람들이 차례를 기다리.. e-Book&CHARMBooks/e<마음에서피는꽃> 2006.03.07
e[마음에서 피는 꽃] 개나리와 진달래를 보러 가자 개나리와 진달래를 보러 가자 친구들 몇 명이 봄동산 나들이를 갔다. 언제부터인가 연례행사로 굳어져있는 봄나들이였다. 해마다 3월이 되면 어디론가 떠나자고 전화를 주고 받는 일로 그 행사가 시작된다. 어디에 핀 진달래가 아름답다더라 혹은 어디에 핀 개나리가 아름답다더라 하며 .. e-Book&CHARMBooks/e<마음에서피는꽃> 2006.03.06
e[마음에서 피는 꽃] 프리지어 꽃향기 가득히... 프리지어 꽃향기 가득히 졸업이란 또 하나의 시작이라고 한다. 하나의 과정을 마무리하는 것은 삶의 다음 단계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더불어 그것을 추진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어 또 다른 세계를 향해 도약하게 한다. 그래서 인생의 여정 중에는 졸업이라는 작고 큰 매듭들이 .. e-Book&CHARMBooks/e<마음에서피는꽃> 2006.03.06
(7) 장애여성의 결혼과 관련된 통념 장애여성의 결혼과 관련된 통념 한 정 희 한국 사회의 결혼제도는 ‘사랑에 기반한, 일부일처제적인, 지속적인, 출산과 양육행위를 하는, 가족구성원을 부양하는 가장과 그들을 보살피는 아내’를 인정하는 제도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의 경험으로 보았을 때의 결혼은 아내와 어머니라는 정체.. 사람&사랑/장애해방 2006.03.06
(6) 장애여성의 이성교제와 관련된 통념 장애여성의 이성교제와 관련된 통념 한 정 희 일반적으로는 이성 간에 자연스러운 성적 관심이 발생하는 청소년기에 이성교제를 시작하게 되지만 최근의 추세는 이성교제가 점점 보편화될 뿐만 아니라 연소화하고 있다고 한다. 급격한 심신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면서 이성에 대한 강렬한 호기심과 .. 사람&사랑/장애해방 2006.03.06
(5) 장애여성의 직업 및 전공 선택에 관련된 통념 장애여성의 직업 및 전공 선택에 관련된 통념 한 정 희 사회통합이란 한 개인이 가치 있는 방법에 의해 지역사회 안에서 인격적인 개인(personal)으로서 성공적으로 참여(participation)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이라고 하는 것은 가치가 저하된 사람들의 집단이 아닌 개인 그 자체의 관점에.. 사람&사랑/장애해방 2006.03.06
(4) 장애여성의 취학과 진학에 대한 통념 장애여성의 취학과 진학에 대한 통념 한 정 희 2000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인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장애여성은 전체 장애인의 38.6%를 차지하고 있으며, 장애여성의 69.4%가 무학 및 초등학교 학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애를 가진 남성의 43.1%, 전체인구의 20.6%와 여성의 30.6%와 비.. 사람&사랑/장애해방 2006.01.01
(3) 장애여성이 당면하는 장애에 대한 사회인식 장애여성이 당면하는 장애에 대한 사회인식 한 정 희 ‘쯔쯔쯔, 예쁘게 생기긴 했는데... 어쩌다 몸이 그렇게 되었니... 쯔쯔쯔’ 어린시절에 아마도 이런 말을 한번쯤 들어 보지 않은 장애여성은 없을 것이다. 장애를 가진 여자 아이가 특별하게 예뻐서라기보다는, 아이들이 얼마나 예쁜가를 생각해 .. 사람&사랑/장애해방 2006.01.01